견갑대 [날개뼈] 질환
〉 진료분야 〉 날개뼈[견갑대]

흉쇄관절 · 인대염좌
sternoclavicular joint sprain
이는 대개 완전히 바깥 쪽으로 신전된 상태의 손이나 어깨로 넘어지는 것과 같은 손상의 결과로 나타납니다. 때때로 염좌는 과다 사용의 결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통증은 외측 흉골자루각에서 편측으로 느껴지며 쇄골부위로 방사되기도 합니다. 이는 견갑골의 상승운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치료

후흉쇄증후군
중년에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질환
이는 드문 질환으로 중년에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종종 혼란을 주는 임상양상으로 나타납니다.

< 진단 >
목의 기저부의 편측통증을 호소하며 보다 뒤쪽의 통증을 호소하여 자칫 경추병변으로 오인할 수 있습니다. 통증은 어깨의 상승에 의하여 유발되며 다른 운동은 정상적입니다.
증상

- 어깨의 상승에 의하여 유발합니다.
- 목의 기저부의 한쪽통증을 호소합니다.
- 뒤쪽의 통증을 호소합니다.
치료

발음성 겹갑골
Snapping scapular syndrome
견갑골을 능동적으로 올리고 내릴 때 통증 없는 염발음이 때때로 들리고 느껴지며, 이는 견갑흉추 활주면이 더 이상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뒤쪽의 후흉곽 벽이 거칠어졌음을 의미하며 대개 통증이 없으면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오랫동안 과도한 척추 후만증을 지니고 있던 직장인들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 진단 >
통증과 관련된 경우는 대개 국소손상, 점액낭염이나 견갑골과 골성흉곽 사이에 생긴 탄력섬유종 혹은 다른 연부조직 염증에 의해 생깁니다. 점액낭염은 종종 야구 투수들에게 생기고 진성 발음성 견갑골은 흉곽이나 견갑골의 전벽의 골성돌기에 의합니다.
증상

- 견갑골을 능동적으로 올리고 내릴 때 통증 없는 염발음이 때때로 들리고 느껴집니다.
- 위와같은 경우 견갑흉추 활주면이 더 이상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