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의 외상

home  〉 진료분야  〉 무릎외상

sub_pain_img_main10_10

연골손상

무릎뼈의 관절연골이 약해지거나 손상된 상태

sub_pain_img_info09


연골손상은 내시경 수술이 보편화된 수술법입니다. 본원은 최신의 내시경을 사용하여 시행하는 효과적인 수술법입니다.

내시경수술

잘보이지 않는 3mm

잘보이지 않는 3mm

MRI 진단 확인

MRI 진단 확인

수술 함께시행

수술 함께시행

무릎 앞쪽 피부주름을 따라 잘 안보이는 곳에 3mm정도 피부절개를 통해 카메라가 내시경과 같이 들어가 무릎속을 보면서 기존 MRI진단과 결과를 확인하고 동시에 수술도 같이하는 방법입니다.

sub_pain_img_main10_11

반월상 연골파열

운동, 사고등에 의해 이연골판 손상
무릎 관절은 3가지의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허벅지쪽의 대퇴골 무릎뼈 그리고 경골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중 대퇴골과 경골 사이 관절의 완충작용을 하는 디스크 유사한 판이 있고 이것을 연골판이라고 합니다. 최근은 운동, 사고 등에 의하여 이연골판이 손상되어 치료를 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경험이 많은 전문의는 이학적 검사와 초음파등으로 진단이 가능하며 치료가 가능하며 치료가 필요할 정도 심할 경우는 MRI 혹은 내시경을 통한 검사가 진행됩니다.

증상 및 통증

  • 무릎을 구부리면 찢어지는 통증이 있으며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더욱 증가 합니다.
  • 부종 – 무릎의 잠금현상이 있습니다.
  • 무릎이 불안정성합니다.
  • 무릎의 완전하지 않은 운동범위의 제한이 있습니다

치료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

파열이 작고 노량의 손상인 경우

호전이 없을경우

호전이 없을경우

봉합 혹은 레이저 시술 시행

파열이 작고 바깥에 위치한 노령의 손상은 수술적 치료없이 보전적 치료나 시술로서 치유 가능합니다.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내시경을 통한 봉합 혹은 레이저 시술을 통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재활

목발사용

목발사용

재활치료

재활치료

수술후 무릎을 보호하기 위하여 목발이 사용권장되며 이후 재활치료가 필요하며 이치료는 수술만큼 중요합니다.

sub_pain_img_main10_12

십자인대 손상

무릎 부상중 가장 흔한 인대손상
무릎 부상중 가장흔한 부상중 하나가 십자인대 손상입니다. 십자인대는 전방과 후방으로 구성되며 손상이 발생하면 무릎이 꺽이는 손상이 발생한 경우 부종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추가 손상예방을 위하여 무릎의 보호를 먼저하고 가능한 신속히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환자의 손상기전을 청취하면 갑작스런 방향전환 정지, 착지, 충돌등의 동작이 발생한 경우 이로인하여 파열음을 듣는 경우 임상적으로 십자인대 손상을 의심합니다. 단순방사선 경우 인대주위 음영이 증가 혹은 뼈조각을 물고 있는 경우 진단이 가능하지만 대부분은 MRI 이미지를 통하여 진단합니다.

치료

부분파열시

부분파열시

부분파열시 CAST(깁스), 보조기 통하여 치료합니다.

부종 빠진후

부종 빠진후

부종이 빠지고나면 조심스럽게 재활치료를 통하여 치료합니다.

지속되는 통증

지속되는 통증

완전파열이나 보존적치료에도 통증이 지속될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큰나무 정형외과는

큰나무 정형외과는

본원은 여러 내시경 기기를 보유하여 십자인대 봉합수술과 심한경우 재건하는 수술까지 시행하고있으며 이 경우 수술후 보조기 착용하여 수일내 보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