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판연골판손상
〉 통증센터 〉 무릎통증

여러연령대 발생하는
무릎 연골 손상
무릎의 중간에 있는 반월상연골
무릎의 연골 손상이라면 퇴행성관졀염을 알고 있기도 하지만 때로는 무릎의 중간에 있는 반월상연골이 다치기도 합니다. 주로 외상이나 퇴행성 이유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여러연령대를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으로 배드민턴 축구등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50대 이후 퇴행성관절염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무릎의 체중전달과 외력분산, 윤활 기능을 하는 반월상 연골이 파열되는 질환으로 무릎의 통증을 유발해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나중에 퇴행성관절염으로도 진행될 수 있습니다. 증상의 경우 손상 범위나 형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데, 초기에는 평상시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가 계단을 내려가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월판연골판손상의 원인
선천적 원인 | 후천적 원인 | 퇴행성 원인 |
---|---|---|
선천적으로 외측 연골판이 원판형으로 기형인 경우로 대부분 경우 무증상입니다. | 최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과도한 축구나 농구, 스키 등의 운동으로 무릎이 비틀리는 경우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순간적으로 무릎에 큰 충격이 가해진 경우 앉았다 일어날 때 갑자기 뚝 하는 느낌을 받은 경우 | 무릎에 무리가 가해져 퇴행성으로 조금씩 반복되어 발생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
반월판연골판손상의 증상

- 무릎 통증으로 인해 내려막길단 내려가기, 한 쪽 무릎 굽히고 앉기 등이 힘들어집니다.
- 무릎이 전반적으로 부어오르는 증상이 나타나 계단을 오르내릴때 제대로 움직이기 어려워집니다.
- 항상 만성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무릎을 움직일 때 소리가나면서 걸리거나 어긋나는 느낌과 통증이 동반 듭니다.
- 오래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을 움직이기 힘든 구부릴 수 없는 상태가 나타날수 있습니다.
- 걸을 때 무릎 관절 주변부와 그아래쪽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법
반월상연골 파열은 및 십자인대등의 인대 손상을 흔히 동반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MRI 혹은 초음파의 진단이 필요하며 이후
초기의 경우 비수술적 보전적치료가 가능합니다.
무릎 주변부의 건병증 및 활액막염: 슬개건염, 거위발건염, 햄스트링건염

수술적치료
본원에서의 최근의 치료는 부분 마취하에 시행하는 최소 침습 내시경 수술입니다.관절내시경을 통한 반월상연골 봉합혹은 성형 심한 경우 인대포함 이식 수술이 비교적 쉽게 진행됩니다.
Check point
- 평소에 과도한 운동은 삼가고 운동 전에는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손상을 예방하세요
- 운동이나 야외활동 시 부상예방을 위해 무릎 부위에 보호대를 착용해주세요
- 운동을 하다가 통증이 발생시 추가 손상을 예방하여 치료를 최소화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