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발목 통증유발 질환
〉 진료분야 〉 발목

Morton
신경종
Morton’s neuroma
바닥쪽 발가락 신경의 신경주위에서 발생하는 비종양성의 섬유증식입니다. 흔히 중년여성에서 잘 발생하며, 3~4번째 발허리뼈 사이 공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증상

- 발가락으로 뻗치는 예기치 못한 날카로운 통증과 저림증상이 있습니다.
치료

발바닥 근막염
plantar fasciitis
발바닥 근막염의 발바닥 발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만성적인 당김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으로 생각되며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류마티스관절염, 통풍,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의 증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 진단 >
주로 비만인 환자 또는 편평발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며 발바닥 근막의 반복적인 외상에 의해 미세손상이 일어나고, 근막과 근막주위에 염증이 일어나는 것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 발바닥근막염의 발바닥 발꿈치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나타납니다.
- 만성적인 당김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으로 생각됩니다.
치료

발뒤꿈치 증후군
plantar fibromatosis
발뒤꿈치의 바닥에서 종골과 발바닥의 피부사이의 염증을 표재 족저근막염이라고 부릅니다. 발뒤꿈치 바닥은 지방조직의 탄성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막으로 된 구획으로 싸여 있는데 이것이 발 뒤꿈치의 피부와 종골의 골막을 연결시켜주고 있습니다.

< 지방층은? >
지방층은 충격흡수의 역할을 하며 직접적인 타격이나 미세한 외상의 반복으로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증상

- 발바닥 뒤쪽의 전체에서 느껴지는데 특히 체중부하시 심해집니다.
치료

부주상골 통증 증후군
Accessory navicular pain syndrome
발배뼈의 정상적인 종자골이나 삼각골도 지속적인 만성 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통증을 일으키는 기전은 유리연골결합의 외상성 또는 퇴행성 변화와 연조직 염증에 의합니다.

< 진단 >
부주상골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발생한 발과 발목의 통증은 운동기구를 이용한 체력단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임상에서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부주상골과 같은 부속소골은 관절에 인접해서 지나갈 때 마찰과 힘줄에서의 압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집니다.
증상

- 환자들은 종종 신발에 의해 자극된다고 호소합니다.
- 이환된 발에 의사들이 사무실에서 신는듯한 헐렁한 슬리퍼를 신고 내원하기도 합니다.
- 발과 발목에 반복적인 움직임을 요구하는 활동이나, 일상적으로 격렬한 에어로빅이나 점핑 운동같이 발과 발목에 격렬한 힘을 가하게 되는 활동들이 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

아킬레스 건염
Achilles tendinitis
주로 달리는 사람들에게 발생하는 문제이나 익숙하지 않은 격심한 활동후 또는 부적절한 신을 신고 오래 걸은 후에 발생합니다.
증상

- 익숙하지 않은 격심한 활동후
- 부적절한 신을 신고 오래 걸은 후
- 걷거나 뛰는 동안 또는 그 후에 통증을 호소합니다.
치료

후경골근 건염
posterior tibialis tendinitis
대개 과사용으로 유발되고 종종 종골하관절의 외반변형에서 발생합니다.
증상

- 후경골근은 발끝으로 서기 동작시 후족부를 안정화시키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발끝으로 서기 검사시 통증이 있습니다.
치료

발음성 발목관절
snapping ankle syndrome
어떤 움직임 동안에 발목의 외측에서 소리가 나는 느낌과 함께 약간의 통증이 있습니다. 이유는 비골 후면의 고랑에서 비골근건이 이완된 것입니다. 그래서 발목의 배측 굴곡시 비골근 건이 복사뼈 위로 미끄러져 앞으로 갔다가 족저굴곡시 뒤로 점프해 오는 것입니다.
증상

- 대게 통증이 없고 단지 불편감만 있습니다.
- 때로는 중첩되어 건염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치료

발목터널 증후군
tarsal tunnel syndrome
발목터널은 발목의 안쪽에 위치하고 이곳에는 뒤정강 신경, 뒤경골근, 긴발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 뒤정강 동맥과 정맥 등이 있습니다. 발목터널증후군은 뒤정강 신경과 그 가지의 압박성 포착신경병증입니다.
증상

- 환자는 전형적으로 발과 발가락의 발바닥면에서 통증 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지지 않는 작열통과 감각이상을 호소합니다.

< 원인 >
외상, 섬유화, 보조근육, 신경절낭, 지방종, 신경다발막종양 등이 있습니다. MRI에서 가장 잘 보이며 초음파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