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사용하는 어깨의 외상

home  〉 진료분야  〉 어깨외상

sub_pain_img_main5_1

쇄골골절
CLAVICLE FRACTURE

쇄골은 가장 흔히접하는 어깨 골절입니다.
내측, 중간 외측 으로 1/3씩 나누지만 중간 부분이 가장흔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엑스레이 사진으로 쉽게 진단됩니다.

치료

비수술적 방법

비수술적 방법

4-5주간 유지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이 필요한 경우

뼈가 붙지 않아 통증이 지속되는 불유합, 어긋난 골절편이 피부를 뚫을 것 같은 정도로 튀어나온 경우 , 신경혈관을 다친 경우, 조기에 팔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대부분 유합이 잘되고 기능상 문제 없이 잘 낫습니다
비수술적 방법으로 4-5주간 유지 하는 정도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잇습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뼈가 붙지 않아 통증이 지속되는 불유합, 어긋난 골절편이 피부를 뚫을 것 같은 정도로 튀어나온 경우 , 신경혈관을 다친 경우, 조기에 팔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수술치료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합병증

  • 신경 및 혈관손상 과 부정, 불유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술부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 골질이 나쁜 경우나 골절편의 결핍시 뼈이식을 동시에 필요하기도 합니다.
sub_pain_img_main5_2

근위 상완골골절

HUMERUS Fracture(surgical neck fracure)

뼈가 약해, 넘어지면서 잘 생기는 어깨관절 골절
상완골은 어깨에서 팔꿈치 까지 이어진 뼈로 위쪽에서 3등분하여 근위 중간 원위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중 근위부 골절은 어깨 관절 부에서 발생하는 데 뼈가 약한 노인들이 넘어지면서 잘 생깁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넘어진후에 어깨 통증과 붓기가 심하고 피명이 관찰되면 의심해야 합니다
엑스레이 사진 으로 진단되면 골절의 양상의 세밀한 진단시 CT,MRI 시행이 필요합니다.

치료

어깨 관절운동

어깨 관절운동

1-2주간이 고정기간 후에 조금씩 어깨 관절운동을 합니다.

관찰

관찰

뼈가 붙기전에 혹시 어긋나지 않도로 관찰합니다.

수술

수술

유합이 안되거나 골편의 전이 가 심할 때는 금속판이나 금속정을 고정하는 수술을 할 수있습니다.

노년의 경우

노년의 경우

노년의 경우는 인공관절을 치환 하기도 합니다.

  • 비전이성 골절은 부러진 골편이 어긋남이 덜하고 안정된 상태로 1-2주간이 고정기간 후에 조금씩 어깨 관절운동을 하면서 뼈가 붙기를 관찰 합니다.
  • 대부분 유합이 잘되고 기능회복도 잘되나 뼈가 붙기전에 혹시 어긋나지 않도로 관찰하여야 합니다.
  • 수술은 유합이 안되거나 골편의 전이 가 심할 때 하는 방법으로 금속판이나 금속정을 고정하는 수술법이 있습니다.
  • 노년의 경우는 인공관절을 치환 하기도 합니다.

합병증

시간이 지나도 골절이 붙지 않는 불유합 혹은 어긋난 상태로 붙는 부정유함 고령의 환자에서 골다공증이 심한 경우 수술을 포함한 적극적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며 운동범위의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가 수술 자체만큼 중요하며 필요합니다.

sub_pain_img_main5_3

견봉쇄골 탈구

파열되면 쇄골이 위로 빠지는 외상
견봉과 쇄골을 이어주는 관절낭이나 인대가 파열되면 쇄골이 위로 빠지는 탈구가 생깁니다.

sub_pain_img_info09

< 손상기전 >
스포츠 손상이나 추락 또는 단순한 넘어지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쇄골을 잡고 있는 인대들이 끊어지면서 발생합니다.

분류

인대 손상 정도에 따라 탈구의 정도가 경한 경우부터 인대의 완전 파열 및 주위 근육 까지 파열된 심한 형태 까지 다양하며 파열이 심할수록 탈구의 정도도 심해 집니다.

치료

수술없는 치료

수술없는 치료

탈구가 경한 경우 손상일경우 보존적 치료를 합니다. (증상의 조금 남은 경우 인대 강화 치료를 통해 합니다)

급성기

급성기

악화 방지를 위한 보조기 착용과 약물 치료를 동반하며, 일부의경우 정밀 검사가 요구되기도 합니다.

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

파열과 탈구가 아주 심하거나 젊은 한자 운동선수에게 시행됩니다.

  • 탈구가 경한 경우 손상은 수술 없이 보전적인 치료를 하며 증상의 조금 남은 경우 인대 강화 치료를 통해 합니다.
  • 급성기는 통증의 완화와 악화 방지를 위한 보조기 착용과 약물 치료를 동반하여야 하며 일부의 경우 관절내 손상을 동반하기도 하여 MRI 등의 정밀 검사가 요구되기도 합니다.
  • 수술적 치료는 파열과 탈구가 아주 심하거나 젊은 한자 운동선수에게 시행 됩니다.
  • 수술 방법은 관절의 유지 가 목표로 금속판이나 인대재건봉합 직접적인 인대 봉합 이 사용됩니다.
sub_pain_img_main01

어깨 탈구

어깨 재발성 탈구
어깨 관절은 우리 인체에서 운동범위가 가장 넓어 운동성이 가장 좋지만 반면에 불안정성 또한 생기긱 쉬운 관절입니다 . 상완 -관절와 관절에서 상완골이 관절와 관절에서 상완골이 관절와를 기준으로 완전히 이탈된 것을 탈구 라고 하고 그전 닽계에 해당되는 불안정성을 아탈구라고 합니다. 빠지는 방향에 따라 전방 후방 다방향성으로 분류하여 외상성/비외상성으로 분유하기도 합니다. 어깨 관절 탈구의 특징은 다른 관절과는 달리 재발의 빈도가 높다는 것입니다.
제일 흔한 경우는 외상으로 인한 전방 탈구로 젊은 층에서 대부분 재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원인

어깨관절탈구 상태 정상적인 어깨상태

어깨 관절을 이루고 있는 두 개의 뼈는 관절순과 인대들로 튼튼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외상으로 어깨 관절이 탈구된느 순간 인대들이나 관절순이 파열될 수 있습니다. 빠진 관절은 쉽게 맞출수 있지만 손상된 인대나 관절순의 기능은 복원되지 못하여 관절이 다시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간혹 선천적으로 관절의이완성이 다방형성을 심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증상이 없다면 불안정성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 다만 증상이 지속되는 겨우에는 간절낭의 손상이 원인으로 간주 됩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13

대표적인 전방 외상성 탈구의 경우, 공던지는 자세가 되면 팔이 빠지는 느낌이 듭니다. 하방 아탈구의 경우는 무거운 물건을 들면 아래로 팔이 쳐지면서 통증과 불안감을 느낌이다. 관절 탈구에 대한 두려움으로 관절운동을 피하게 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급성탈구인 경우 진찰소견과 엑스레이 소견을 보고 탈구의 방향을 조사하는데 대부분의 겨우 팔이 앞쪽으로 빠지는 전방 탈구입니다. 재발성 탈구가 되면 mri 등으로 관절순 또는 인대들의 상태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재발성 탈구시 골절을 동반하는 경우와 골결손이 심하면 수술전 ct 사진이 필요합니다

치료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전방 불안정성인 경우 그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리 치료등을 이용한 보전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

수술

반복적인 견관절 전방 탈구 등이 지속될때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 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방법

수술적 치료의 방법

관절와순을 봉합하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 만성 불안정성인 경우 그정도 및 종류에 따라 치료의 방법이 달라 질 수 있습니다.
  •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혹은 전방 불안정성인 경우 그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리 치료등을 이용한 보전적 치료를 시행하여 볼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견관절 전방 탈구 등이 지속될때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 합니다.
  • 수술적 치료의 방법은 관절이 탈구될 때 발생한 관절와순을 봉합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관절을 열어 노출 시킨후 시행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하였으나 현재는 본원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복원술을 시행함으로 회복이 빠르고 수술시 발생할 수 있는 관절 손상의 가능성이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