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사용하는 어깨의 통증

home  〉 진료분야  〉 어깨통증

sub_pain_img_main6_1

회전근개 질환
rotator cuff disease

전근개근 자체에 병이 생겨, 증상발생
충돌증후군( impingement syndrome ), 극상근 건염 ( supraspinatus tendinitis ), 회전근개 파열 ( rotator cuff tear )등 회전근개 주변의 윤활낭 및 회전근개근 자체에 병이 생겨서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총칭합니다.

원인

선천적 원인 후천적 원인 퇴행성 원인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젊은 운동선수에게 자주 나타나는 견봉의 앞부분과 회전근개가 충돌하는 현상은 이차적으로 회전근개 질환으로 많이 진행합니다. 회전근개의 건 병증이나 파열은 노화에 따른 퇴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2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 시작되며 어깨 관절은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 어떠한 연령층에서도 병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14
  • 많은 환자에서 만성적으로 어깨관절에 간헐적이고 경미한 불편감 내지는 통증이 있다가 경미한 손상이나 과도한 움직임 이후에 급격하게 증상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가장 흔한 증상은 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 통증이 심해지며 흔히 팔 위쪽의 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앉거나 서면 통증이 감소하고 누운 자세에서는 통증이 증가하여 밤에 증상이 심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 관절운동의 제약이 나타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진찰소견과 초음파검사 혹은 MRI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치료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

먹는약과 물리치료, 프롤로 주사치료 및 견봉하 주사 요법이 있습니다.

비수술적치료

비수술적치료

비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파열 회전근개 질환 및 부분층 파열은 비수술적 치료를 위주로 합니다.

호전이 없는 경우

호전이 없는 경우

수개월 동안 충실하게 치료해도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에 수술을 고려합니다.

일차적으로는 비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파열 회전근개 질환 및 부분층 파열은 비수술적 치료를 위주로하고, 수개월 동안 충실하게 치료해도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에 수술을 고려합니다. 보존적 치료에는 먹는약과 물리치료, 프롤로 주사치료 및 견봉하 주사 요법이 있습니다.

sub_pain_img_main03

석회화건염
shoulder calcific tendinitis

30~40대

30-40대에 많이 발생
30-40대에 많이 발생하며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어깨 관절 부위의 힘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특히 극상근 건에서 많이 발생하고 심하면 파열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증상및 진단 >
갑자기 시작되는 매우 극심한 통증이 특징이어서 화학적 종기라는 별칭을 갖고 있습니다. 대부분 통증은 어깨관절의 앞부분에 나타나서 흔히 삼각근의 아랫부분으로 방사되며 환측으로 돌아눕기가 힘들다. X-ray, 초음파나 MRI 로 진단합니다.

치료

비수술적 방법

비수술적 방법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초음파 및 주사요법

초음파 및 주사요법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요법이 효과적입니다.

수술적 제거술

수술적 제거술

2개월 후에도 증세의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경우 /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경우 / 그리고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는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경우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초음파를 이용한 주사요법이 효과적입니다. 여러 가지의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2개월 후에도 증세의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점점 심해지는 경우, 그리고 일상 활동에 지장을 주는 지속적인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술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sub_pain_img_main5_3

상완 이두근 힘줄 질환

상완 이두근이란?
팔을 굽히고 안쪽으로 돌리는 역할을 하는 위팔의 앞면에 위치하는 근육

상완 이두근 힘줄 질환구분

상완이두근 건염
상완이두근 건의 이탈
상완이두근 파열

상완이두근 건염

sub_pain_img_info09

< 증상 >
반복적인 외상이나 퇴행성 변화등이 건염을 유발합니다. 흔히 어깨 관절 근위부의 앞쪽에 만성적인 통증이 있고 대부분 특별한 외상력이 없으며 팔을 머리 위로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는 경우에 잘 발생합니다.

진단 치료
초음파 검사나 MRI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비수술적 치료에 증상이 호전되기 때문에 수술까지 필요한 경우는 드뭅니다.

상완이두근 건의 이탈

sub_pain_img_info09

< 증상 >
상완이두근 건에 자극이 있거나 경미한 이동이 있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건염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거나 상완 이두근 건과 그 주위조직에 지속적인 손상이 있을 꼉우에는 건이 상완이두근 구 내측으로 이탈하거나 최악의 경우는 건 파열까지 진행할 수 있습니다.

진단 치료
초음파 검사나 MRI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진단하며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로 고정하거나 상완이두근 구를 더욱 깊이 만드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상완이두근 파열

증상 치료
외형적으로 상완이두근이 정상보다 더 볼록해진다. 파열시 예리한 통증이 있으며 파열부위의 압통이 있습니다. 대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젊거나 활동적인 환자에서는 기능이나 미용적인 면의 회복을 위하여 수술적 요법을 시행합니다.
sub_pain_img_main04

유착성 관절낭염
동결견 · 오십견

frozen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운동의 제한이 나타나는 질환
대부분에서 특별한 외상이 없거나 경미한 외상후에 어깨 관절 부위에 둔통이 시작되어 서서히 통증이 심해지면서 관절운동의 제한이 나타납니다. 누워 있는 자세에서 증상이 심해져 야간통이 발생합니다.

증상

통증기 동결기 해빙기
관절운동제한이 진행 이후 수개월에 걸쳐서 통증은 사라지나 관절 운동제한이 심해집니다. 점차 관절 운동 제한이 서서히 회복됩니다.
sub_pain_img_info09

< 3기로 구분 >
일반적으로 임상경과에 따라서 3기로 나누어지며 4개월에 걸쳐 통증과 관절운동제한이 진행되는 통증기. 이후 수개월에 걸쳐서 통증은 사라지나 관절 운동제한이 심한 동결기, 점차 관절 운동 제한이 서서히 회복되는 해빙기로 전체적으로 1-2년에 걸쳐 나타나며 과반수 이상에서 관절 운동 제한이 남거나 통증이 지속된다.

치료

치료의 종류

치료의 종류

약물치료, 관절강내 주사치료, 마취하에 수동적 조작술, 관절낭 팽창술 등을 시행합니다.

수술적치료

수술적치료

6개월 이상 치료에도 반응이 없거나 악화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수술진행

수술진행

수술은 관절경이나 개방술을 이용하여 관절내 이상 병변에 대한 제거술 및 관절막 절개술 등을 시행합니다.

수술후

수술후

수술 후에도 오래 기간 운동치료가 필요합니다.

sub_pain_img_main6_3

어깨 관절의
관절염

외상이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게 발생
다른 관절에 비하여 발생률이 낮으나 기능적 손실은 다른 관절과 비슷하다. 외상이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에서 잘 발생합니다. 대부분 야간통이 발생하여 수면에 장애를 줍니다. 혈액검사와 MRI 검사로 진단합니다.

sub_pain_img_info09

< 견봉쇄골관절 질환 >
외상에 쉽게 노출되어 골절이나 이탈이 발생할 수 있으며 노화에 따른 견봉쇄골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은 쉽게 발생하여 어깨 통증의 흔한 원인이 됩니다.

견봉쇄골관절 증상

sub_pain_radimg_015
  • 어깨의 앞과 위쪽에 통증을 호소합니다.
  • 수면중 이환된 관절쪽으로 돌아눕거나, 동측의 팔을 반대쪽 어깨로 가져갈 때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견봉쇄골관절 치료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

6개월간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적치료

수술적치료

6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에 증상호전이 없으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sub_pain_img_main6_2

어깨위
신경 포착병증

극하근 증후군
임상증후군 : 어깨위 신경 포착병증은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는 흔치 않은 원인이지만 서류가방 대신 백팩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임상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어깨위 신경이 어깨뼈패임 부위 ( suprascapular notch, spinoglenoid notch )에서 압박을 받아서 발생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근전도, 초음파, MRI 등의 검사가 도움이 됩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중 무거운 백팩을 장시간 짊어져 이 부근에서 눌림
낙상이나 미식축구 손상과 같은 신경의 직접적인 충격을 받아서 발생
발리볼 선수들처럼 팔을 어깨위로 올리는 행동이 많은 사람들에서 발생
임상적으로 가장 중요한 소견은 극상근과 극하근의 약화이다. 근력저하 증상은 동측 어깨의 외전과 내전의 약화

증상

sub_pain_radimg_016
  • 어깨의 윤활낭염, 건염, 관절염등으로 오진될 수 있고 경추 5번 신경근병증 역시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
  • 돌발성 위팔신경염으로 알려진 Parsonage-Turner syndrome의 증상도 갑작스러운 어깨의 통증으로 나타나 혼동될 수 있습니다.
  • 드물게 종양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치료

약물치료

약물치료

약물치료로 시작해서 반복적인 외상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차단술

신경차단술

신경차단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치료

수술적치료

주사치료에 반응이 없다면 수술적 감압술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