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외상
〉 진료분야 〉 고관절외상

고관절 골절
외부충격 에너지 손상에 의해 90%발생
고관절 골절은 대부분 넘어지면서 고판절부의 외측을 직접 부딪히면서 발생합니다. 젊은 연령에서는 추락이나 교통사고 같은 고에너지 외상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고 노년 환자에서는 골다골증으로 인해 골질이 약화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단순 낙상같은 저에너지 손상에 의해 90%가 발생합니다.

< 진단 >
대부분 방사선으로 확인되지만 선상의 미만성 골절인 경우 MRI촬영을 하여 단순한 수술을하여 회복 가능하기도 합니다.
증상

- 고관절 골절이 있는 환자는 골절 후 외측 대퇴부와 서해부에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 대퇴부를 구부리거나 회전하여고하면 더욱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 골절 후 환측 다리가 반대쪽에 비해 짧아지면 발과 무릎은 외회전된 자세를 보이게됩니다.
치료
골절형태와 위치에 따라 적절한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아 중년 노년에 따라서 정복과 고정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으면 소아의 골절유합이 불량할 경우 평생 추시 및 치료를 요하며 중년에는 가능한 한 골절부 정복과 견고한 고정으로 자기골두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골다골증으로 인한 노인인 경우 골유합술도 가능하지만 본원은 인공관절을 통한 조기재활을 권합니다.

고관절 골괴사증
관절의 파괴로 속발성 관절염으로 진행하는 병
뼈로가는 혈액공급의 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성 질환을 뜻하며 혈액공급 찻잔으로 골세포괴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결국에는 관절의 파괴로 속발성 관절염으로 진행하는 병입니다. 골괴사증은 무혈성 괴사 허혈성괴사 혹은 무균성괴사로 불리기도 하며 모든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고관절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 진단 >
단순방사선 사진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이때는 진행이 되어 수술을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초기는 MRI촬영이 필요합니다.
원인 및 위험인자
고관절 골괴사증은 대퇴골두로 혈액공급이 차단되었을때 발생하게 되며 대퇴골두로 적절한 혈액공급이 없을경우 대퇴골두의 괴사 및 붕괴가 진행되게 됩니다. 따라서 관절연골도 일그러지게 되며 이는 결국 관절염으로 진행합니다.
혈류공급의 부족을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을 알수는 없지만 병을 유발 할 수 있는 몇가지 위험요소들은 아래와 같다.
외상 : 고관절 탈구 골절 / 스테로이드 과다사용 – 천식등의 칠 / 기타내과적 질환들 : 잠수병, 검상적혈구빈혈, 골수염등
증상

- 골괴사는 단계별로 진행합니다. 고관절 통증은 첫증상입니다.
- 사타구니(서해부)와 엉덩이에서의 묵직한 박동성 통증이 발생합니다.
- 질병이 진행하면서 병변측 엉덩이로 서있거나 무게를 지탱하기가 어렵습니다.
- 고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치료
약물치표 및 목발사용등 비수술적 치료가 통증경감 및 병의 진향을 늦출수는 있으나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수술입니다. 본원은 초기에는 약물치료 증기이후는 감압수술 증기이후는 인공관절을 시행하니 조기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인공고관절 치환술
관절을 안정하게 유지
인공고관절 치환술은 1960년부터 시행되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고관절 통증을 경기하고 관절을 안전하게 유지하는 효과적인 수술 줄 하나입니다. 관절염이나 골절 또는 다른질병으로 걷거나 내리거나 버스 탈 때 아프다면 수술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