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덩이 통증 유발 질환
〉 진료분야 〉 하지통증

대퇴 관골구
부딪힘 증후군
형태학적 이상에 의한 부딪힘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
고관절을 형성하고 있는 대퇴골과 비구순의 형태학적 이상에 의한 부딪힘에 의해 발생하는 고관절의 통증입니다.

< 진단 >
X-ray, 초음파, MRI등으로 진단합니다.
증상

- 대부분 고관절 전면부인 서혜부의 통증이 서서히 나타나며 서혜부 통증이 대퇴부로 뻗치는 예리한 통증을 보입니다.
- 회전운동과 지속적으로 앉아있는 자세에 의하여 악화 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욱 악화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절구 테두리의 찢김
Acetabular labral tear
엉덩이의 경중증도 외상이 절구테구리의 찢김을 유발합니다.
증상

- 고관절의 신전, 모음, 안쪽 돌림상태에서 굽힘, 벌림, 바깥돌림의 상태로의 자세변화시 엉덩이 통증을 유발합니다.
치료
고관절 내장

< 고관절 내장 >
드물지 않지만 흔히 간과됩니다. 유리체, 관절순의 파열, 활액막염의 작은 병소의 충돌에 기인합니다. 모든경우에 단순 방사선 촬영은 음성입니다. 최근의 관절경 연구는 대부분의 고관절 내장은 관절순 파열의 충돌의 결과일 수 있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증상
- 서혜부와 전자부에 예리하고 심한 통증양상의 극통이 특징적 증상입니다.
- 일상적인 걸음이나 계단을 내려갈 때 갑작스럽게 나타납니다.
- 환자는 대퇴부에서 무릎과 다리로 전극통증을 느끼고 주저 앉고 싶어합니다.
- 때로는 통증은 즉시 사라지거나 환자는 잠시동안 건강한 다리로 서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통증은 100미터 동안 각 걸음마다 반복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또는 몇 주 동안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치료

골관절염
엉덩이 표면 또는 깊은 부위의 통증
골관절염시 엉덩이의 표면 또는 깊은 부위의 통증, 운동범위의 감소, 움직임과 근력의 점진적인 변화, 다른 체중부하 관절에서의 통증 등이 있스며 통증이 서혜부로 방사됩니다.
분류

골관절염은 체중이 부하되는 관절에 심각한 증상을 유발 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간형적이고 경증의 양상을 보여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증이 악화됩니다.
치료

대퇴골두
무혈관 괴사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대퇴경부 동맥의 혈관이상에 의해 엉덩이 부위의 깊은 통증이나 체중부하의 어려움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50세 이하에서 갑작스럽고 진행성의 서혜부 통증이 있으면 무균성 괴사의 시작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진단 >
MRI 촬영으로 진단합니다.
치료

엉덩관절 소음
증후군
Snapping hip syndrome
주로 무용수, 체조선수 등에서 발생합니다. 엉덩정강뼈환이 큰돌기와 서로 마창이 있는경우 일반인에게서 발생하기도 하며, 엉덩이의 바깥쪽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증상

- 넙다리 대전자 부근의 갑작스럽고 예리한통증을 동반한 옆쪽 고관절의 딸각거리는 느낌의 증상이 있습니다 .
- 고관절의 딸깍거리는 증상은 대부분의 환자가 앉았다가 일어설때나 빠르게 걸을 때 발생합니다.
치료
치료는 휴식을 취하고 엉덩허리근과 엉덩정강뼈환과 같이 짧아진 근육을 도수치료로 풀어주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며 프롤로 주사가 효과적 입니다.

궁둥구멍근 증후군
Piriformis syndrome
이상근은 좌골신경 위를 지나는 근육입니다. 이상근에 문제가 발생하여 비대해지거나 변형이 생길 경우 좌골신경을 눌러 엉덩이 부위에 둔통을 유발하며 다양한 형태의 방사통을 유발합니다.

< 진단 >
허리 디스크와 증상이 유사하여 MRI 등의 정밀 검사를 통한 타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원인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상근이 허벅지를 바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그와 관련되 근육이 과도하게 조여지거나 경련을 일으켜 좌골 신경을 압박하고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 외상이나 척추수술 후유증, 선천적 형태학적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운동선수가 과도한 운동을 하거나 오랜시간 동안 앉아 있는 자세, 다리를 꼬는 습관, 뒷 주머니에 지갑을 넣고 다니는 습관이 있을 경우에서 유발됩니다.
증상

엉덩이 중간부분에 압통이 유발되며 수동적인 엉덩이의 안쪽돌림 또는 저랑에 대한 능동적인 바깥돌림에 의해 통증이 유발됩니다.
치료

요근점액낭염
psoas bursitis
인체에서 가장 큰 점액낭의 하나이며 계단을 올라가거나 하지 근육을 단련시키는 운동기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반복된 운동이 요금점액낭을 반복적으로 손상 시킬 수 있습니다. 투창, 발레와 같이 반복적으로 엉덩이를 굽혀야 하는 과사용손상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에 의한 손상과 같은 급성손상은 점액낭에 직접적으로 외상을 줍니다.
증상

- 염증이 발생하면 서혜부, 전방대퇴부, 무릎, 다리에서 통증이 느꺄집니다.
- 걷거나 다리를 쏘는 것과 같이 특이동작에서 나타납니다.
- 종종 환자는 아픈 고관절쪽으로 누워서 잘 수 없습니다.
- 엉덩이를 움직이는 범위에 따라 날카롭고 긁는 것 같은 감각의 통증을 호소 할 수 있습니다.
치료

둔부점액낭염
gluteal bursitis
하지의 거짓 방사통의 가장 흔한 원인의 하나입니다. 환자는 주로 40-50대로 보통 척추질환으로 골반이 틀어진 분들에게 많이 발병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오래 앉아 일하는 직업군을 가진 분들에게 발병률이 높습니다.

< 진단 >
자연적 치유의 경향이 적으며 진단은 MRI와 같은 정밀검사를 요하며 국소마취제로도 확인하기도 합니다.
증상

- 대퇴부의 바깥 또는 후방, 하퇴근육, 바깥 복사뼈로 내려가는 둔부와 전자부에 통증을 호소합니다.
- 흔히 주간찬 질환과 증상이 유사하여 허리디스크 질환으로 오인하기도 합니다.
- 골반의 양쪽 아랫부분을 구성하는 궁둥뼈 아래에 위치한 물 주머니인 점액낭이 염증성 변화로 부은 상태를 말합니다.
- 추간판 병변에 의해 발생하는통증과 달리 증상은 앉기가 아니라 걷기에 관계되며, 계단을 올라갈 때 매우 통증이 심합니다.
치료

대퇴신경병증
femoral neuropathy
많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대퇴전부와 종아리 안쪽통증의 흔하지 않은 원인의 하나입니다. 이것은 종양, 후복막의 출혈, 혹은 농양에 의한 압박, 대퇴신경에 대한 신전손상, 당뇨병 등이 원인입니다.

< 진단 >
여러가지 질환과 감별하기위하여 방사선 촬영, 초음파, MRI 들을 시행 할 수 있습니다.
증상

- 대부분의 환자는 허벅지 앞쪽과 옆쪽의 통증과 저림증상을 호소합니다.
- 감각이상을 느끼거나 화끈감의 특징을 보입니다.
- 통증의 강도는 중등도에서 고도의 강도를 보입니다.
치료
치료는 경미한경우 대개 보존적인 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프롤로치료, 신경차단술)에 호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