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통증

home  〉 진료분야  〉 상지통증

sub_pain_img_main8_1

흉곽출구증후군

thoracic outlet syndrome
흉곽출구증후군은 신경형관다발이 흉곽출구에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압박되어 다양한 형태의 증상을 발생하는 질환이다.

sub_pain_img_info09

< 원인 >
외상, 반복적인손상, 해부학적 이상, 드물게 폐종양에 의해 유발됩니다. 동맥성, 정맥성, 진성 신경성, 외상성 신경혈관성, 비득이타입의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혈관이나 신경학적 이상소견은 눌림의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20
  • 무거운 물건을 옮기거나 머리위로 손을 드는 자세를 하거나 팔을 반복적으로 움직일 때 통증과 감각의 장애가 심해집니다.
  • 신경압박에 의한 증상은 이상감각과 날카롭고 화끈거리는 통증이며 국소적으로 방사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 손가락, 손, 아래팔, 위팔, 목, 가슴, 겨드랑이 등에도 통증이 있습니다.
  • 손의 힘이 빠지기도 하며 동맥이 눌리면 팔의 통증과 팔의 차가움, 색의 변화(창백함),  윈위부 동맥압 감소, 현상 등이 나타납니다.
  • 혈전이 생기면 팔의 허혈, 궤양, 궤사 , 뇌경색 등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약물 · 물리치료

약물 · 물리치료

주사 요법

주사 요법

수술

수술

치료는 주사요법, 수술, 부목, 소염진통제 등 약물용벙,물리치료 등이 있습니다.

sub_pain_img_main8_2

테니스 엘보우
골프 엘보우

lateral / medial epicondylitis, golf elbow
아래팔의 공통 신전근 특히 단요측수근신근의 과사용, 과도한 힘에 의한 신전 등에 의한 손상이며 공통 신천근 힘줄이 골막에 닿는 부위에서 찢어지는 것도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운동선수나 일반인들 모두 수년간 손목의 반복적인 스윙이나 꺽기 등이 공통 신전근건에 스트레스를 주어 외측 상과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익숙하지 않은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할 때도 생깁니다. 요골신경이 팔꿈치 관절낭에 유착되어 손목의 신전근이 짧아지거나, 어깨 및 손목 관절의 이상도 이차적으로 공통신전근에 스트레스를 주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sub_pain_img_info09

< 증상 및 진단 >
병변 부위의 압통이 있으며 방사선 촬영보다는 이학적 검사와 초음파 혹은 MRI에 의해서 진단을 합니다.

내측상과염 외측상과염
내측 상과염의 원인은 골프스윙이나 암벽등반시, 공을 던질 때처럼 손목을 굴곡하여 내측상과에 반복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져서 발생합니다. 외측 상과염의 병태생리는 과거에는 건·골 접착부의 손상을 인한 염증으로 생각되었지만 최근에는 손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회복의 결과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외측상과염 힘줄의 현미경적인 관찰에서 염증세포보다는 혈관성 섬유증식등의 비염증성 만성 퇴행성 변화가 관찰 되었습니다.

치료

예방

예방

손목과 팔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을 줄여서 손상을 방지, 적당한 운동기구의 사용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

마사지, 스트레칭,  근육강화 운동, 저출력 레이저치료,  체외충격파 등의 물리치료가 있습니다.

주사치료

주사치료

프롤로 주사가  75~80%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보존적치료 실패시

보존적치료 실패시

6개월 정도의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 수술을 추천합니다.

  • 운동이나 작업 등에서 손목과 팔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시간을 줄여서 손상을 방지하고, 자세를 올바르게 하며, 팔꿈치 관절 강화를 위한 주변 근육 강화, 신체에 맞는 적당한 운동기구의 사용이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통증으로 삶의 질이 저하 될 수 있어 적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부목, 마사지, 스트레칭,  온열 및 냉동요법, 근육강화 운동, 저출력 레이저치료,  체외충격파 등의 물리치료가 있습니다.
  • 주사치료로는 스테로이드를 피하주사 하는데 빠른 효과는 보이나 장기간의 효과는 없어보이며, 프롤로 주사가  75~80%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자가혈액과 보툴리눔 톡신을 주사한 보고도 있습니다.
  • 6개월 정도의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 수술을 추천합니다.
sub_pain_img_main8_3

척골신경 포착증후군

ulnar nerve entrapment syndrome
척골신경이 근육이나 인대 또는 기타 구조물에 의해 눌리거나 포착되어 생기는 중상으로 여러부위에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sub_pain_img_info09

< 원인 >
골정 등 외상, 반복적인 손상 등의 원인으로 포착이나 눌림이 발생하여 위험인자로는 당뇨, 갑상선기능 저하증, 류마티스질환, 알코올 중독 등이 있습니다.

증상 및 진단

sub_pain_radimg_021

5번째 손가락과 4번째 손가락의 반절의 저림과 작열감이 있습니다. 심하면 손의 약화가 일어나 4,5 번째 손가락이 말려 올라가는 척골 갈퀴손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예방

예방

손,팔의 바른 자세와 적절한 사용

수술

수술

수술이 필요한경우는 드물지만 손상을 막기위해 조기치료가 필요

  •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 팔의 바른자세와 적절한 사용이 중요하며 잠자는 동안 자세에 주의해야 합니다.
  • 물리치료, 작업치료, 포착부위 신경주위에 주사치료 등이 도움이 됩니다.
  •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드물지만 영구적인 신경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sub_pain_img_main8_4

요골경상건초염

de Querain disease
엄지를 움직이는 두 근육의 건초병증입니다. 단무지 신근과 장무지 외전근은 비슷한 방향으로 주행하며 엄지를 손에서부터 외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병인은 과사용에 의한 손상으로 추정되며 손을 쥐거나 엄지의 반복적인 움직임이 유발요인으로 생각되며 산모에서는 특별한 병력 없이도 발생합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22

엄지쪽 손목의 통증, 압통 부종이 있으며 손을 쥐는 것이 어렵게됩니다.

치료

치료는 주사요법, 수술, 부목, 소염진통제 등 약물용벙,물리치료 등이 있습니다.

sub_pain_img_main8_5

수근관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말초 포착신경병증으로 손목터널에서 정중신경의 병변이나 포착으로 인한 저린감, 통증, 이상감각이 특징입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23

초기에는 한쪽 손바닥 면에서 1-3번째 손가락과 4번째 손가락의 요골쪽 절반의 저림과 따끔거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저림 증상은 밤에 더 심하고 이유는 밤에 잠을 자는동안 손목을 더 굽히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추정됩니다. 초음파검사, MRI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다면 부목을 하고 약물치료를 합니다.

일상생활에 지장있는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있는경우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경우 주사요법을 시행합니다.

호전이 없는경우

호전이 없는경우

주사요법을 6개월간 치료해도 호전없다면 수술을 고려한다.

sub_pain_img_main8_6

방아쇠 손가락

trigger finger
가장 흔한 반복적인 운동질환으로 중년 이후에 발생합니다. 손가락의 굴곡, 특히 신전시에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딸각하고 걸렸다가 넘어가게 되는데 통증은 좁아진 부위나 결절이 있는 부위에 국한됩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24

방아쇠를 당기는 것처럼 딸깍하고 걸렸다가 넘어가게 되는데 통증은 좁아진 부위나 결절이 있는 부위에 국한됩니다.

치료

건초에 주사방법

건초에 주사방법

수술적 방법

수술적 방법

sub_pain_img_main8_7

삼각섬유연골복합체 손상

TTFC[Triangular Fibrocartilage Tear Syndrome]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병변으로 알려진 삼각 섬유연골 파열 증후군은 손목의 외상이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손목기능과 관련된 4개의 중요한 기능을 하는 인대와 연골 구조물의 복합체입니다.

sub_pain_img_info09

< 진단 >
TFCC의 퇴행성 변화는 30대에서 자연적인 노화과정의 일부로서 일어납니다. 이러한 퇴행성 변화는 TFCC를 외상성 손상에 취약하게 만듭니다. 수상스키나 승마활동, 전동드릴 손잡이에 드릴 날을 끼우고 사용할 깨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MRI촬영으로 가능합니다.

증상

sub_pain_radimg_025

커피를 젓는 등의 행동을 할 때 통증의 증가를 호소하는 일이 흔합니다. 몇몇 환자는 손목을 움직일 때 걸리거나 딸깍거리는 감각을 호소합니다.

치료

먹는약·물리치료

먹는약·물리치료

먹는약과 물리치료로 치료시행을 할 수 있습니다.

주사치료

주사치료

프롤로 주사요법,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시행 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 실패시

보존적 치료 실패시

보존적 치료실패시 관절경을 시행합니다.